본문 바로가기
관심 종목

삼성이 투자한 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

by 미래캔버스 2025. 3. 30.
728x90
반응형

삼성전자는 다양한 분야의 기업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해 왔습니다. 주요 투자 기업과 그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 레인보우로보틱스: 산업용 로봇 제조 기업으로, 삼성전자는 지분 14.8%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와이아이케이: 메모리 웨이퍼 테스트 전문 기업으로, 삼성전자는 11.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에이테크솔루션: 반도체 부품 양산 및 자동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삼성전자는 지분 15.9%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솔브레인: 반도체 식각액과 세정액 등 반도체 핵심 공정 재료를 공급하는 기업으로, 삼성전자는 지분 4.8%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동진쎄미캠: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감광액 등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삼성전자는 지분 4.8%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원익IPS: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태양전지 장비 제조 기업으로, 삼성전자는 지분 3.77%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에프에스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소재 제조 기업으로, 삼성전자는 지분 6.6%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엘오티베큠: 진공펌프 및 반도체 장비 제조 기업으로, 삼성전자는 지분 6.3%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에스앤에스텍: EUV 장비 내 블랭크마스크를 국산화한 기업으로, 삼성전자는 660억 원을 투자하였습니다.
  • 아이마켓코리아: 산업재 B2B 전자상거래 기업으로, 삼성전자는 지분 1.9%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는 삼성전자의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와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2011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의 연구원들이 창업한 산업용 로봇 전문 기업입니다. 이들은 대한민국 최초의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휴보(HUBO)'를 개발하였으며, 이후 협동로봇, 사족보행 로봇 등 다양한 로봇 플랫폼을 선보였습니다. 

 

 

2024년,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35%까지 확대하여 최대 주주로 올라섰습니다. 이를 통해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자회사로 편입되었으며, 양사는 로봇 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로봇의 핵심 부품인 구동기, 엔코더, 브레이크, 제어기 등을 자체 개발하여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협동로봇 'RB 시리즈'는 글로벌 인증기관인 TÜV SÜD로부터 CE 및 KCs 인증을 획득하여 안전성과 신뢰성을 인정받았습니다. 

현재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의 자회사로서의 시너지를 통해 로봇 산업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협동로봇

 

로봇 전문가가 아니어도 제조업과 서비스업 현장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요즘 치킨집이나 카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협동 로봇을 생산한다.

 

 

 

 

자사 천문 마운트 RST-400로 촬영한 말머리 성운

천문 마운트 ASTRO

 

어떠한 지점을 정밀하게 지향하거나 추적하는 장치로 1초각 (3,600분의 1도) 수준의 정밀도를 갖추고 있다. 

 

 

 

사족보행 로봇

 

순수 자체 기술로 개발한 사족보행 로봇으로 감시, 정찰, 수색 임무 수행에 최적화되어 있다. 

 

 

 

 

이족보행 로봇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인간형 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세계 최초로 상업화한 인간형 로봇 플랫폼 HUBO2는 연구용 플랫폼으로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MIT, Google 등)에 판매하였다. 

 

 

 

월봉차트

 

2021년 11월 30일 17,200원하던 주가는 2025년 2월 28일 429,000원을 찍었다. 27개월만에 약 24배 상승.

 

 

 

매출액 추이

 

2021년 90억원

2022년 136억원

2023년 153억원

2024년 160억원 

728x90
반응형